분류 전체보기
, 금융 정보, 재테크">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출산크레딧으로 월 12만 원 더? 국민연금 수령액 사례 시뮬레이션

by note-blog-1 2025. 7. 24.

“내가 받을 국민연금, 자녀 수에 따라 얼마나 늘어날까?”


단순한 혜택처럼 보이지만, 출산크레딧은 실제 연금 수령액에 수백만 원 이상의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자녀 수가 많다면 반드시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할 국민연금 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출산크레딧으로 늘어나는 연금 수령액, 사례별 시뮬레이션까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

 

 

 

 

 

목차

 

 

 

 

 

출산크레딧으로 월 12만 원 더? 국민연금 수령액 사례 시뮬레이션

 

 

 

 

 

 

출산크레딧이란? 국민연금 수령액이 늘어나는 핵심 제도

출산크레딧은 둘째 자녀부터 자녀 수에 따라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받는 제도입니다.

 

 


이 추가 가입기간은 국민연금 산정에 반영되어 수령액을 직접 증가시키는 요소가 됩니다.

출산크레딧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에서 확인해보세요.

🔗 출산크레딧 제도란? 국민연금 최대 50개월 더 받는 방법

 

그렇다면 실제로 얼마나 늘어나는지, 사례를 통해 자세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실제 연금 증액 사례|출산 자녀 수에 따라 이렇게 달라집니다

기준소득월액을 200만 원으로 가정하면, 자녀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월 연금 증가가 발생합니다.

 

공식 계산은 국민연금공단 공식 자료에 따라 기준소득월액 × 인정 개월 수 × 연금 지급률(1.0%)로 산정됩니다.

 

 

🔗 국민연금공단 공식 출산크레딧 안내 페이지

 

자녀 수 인정 개월 수 월  연금 증가액 연간 추가 수령액
둘째 12개월 약 +26,210원 약 314,520원
셋째 30개월 약 +65,540원 약 786,480원
넷째~ 48~50개월 약 +104,870~109,240원 약 1,250,000원 이상
 

출산 자녀 수가 많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국민연금 수령액 격차도 커지게 됩니다.


이제 이 격차가 장기적으로 얼마나 누적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자녀 수에 따른 누적 수령액 비교 (20년 수급 기준)

월 수령액 차이는 10년, 20년이라는 기간 동안 엄청난 금액의 차이로 이어집니다.

 


다음은 20년간 연금을 수령했을 때, 자녀 수에 따라 추가로 받게 되는 총 금액입니다.

자녀 수 월 추가액 20년 누적 수령액
둘째 +26,210원 약 6,290,400원
셋째 +65,540원 약 15,729,600원
넷째~ +109,240원 약 26,217,600원
 

단순히 출산만으로 수천만 원의 차이를 만드는 국민연금 제도, 그 전략적 활용이 중요해졌습니다.


이번엔 '몰아주기' 전략을 적용했을 때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고소득 배우자에게 몰아줬을 때 수령액 차이

남편의 월 소득이 1,000만 원, 아내는 200만 원이라고 가정해봅시다.

 


이 부부가 자녀 2명을 낳았고, 출산크레딧을 기본 분할 방식(6개월+6개월)으로 적용한다면 각자 소득에 비례하여 다음과 같은 연금이 추가됩니다.

구분  기준소득월액  출산크레딧 적용 방식 적용 개월 수  예상 월 추가 연금액
남편 (1,000만 원) 1,000만원 분할 적용 (6개월) 6개월 +60,000원
아내 (200만 원) 200만원 분할 적용 (6개월) 6개월 +12,000원
부부 합산 약 +72,000원/월 증가

 

하지만 동일한 자녀 수라도 고소득자 한 명에게 몰아주기(12개월 전부 적용)를 하면 연금 계산식이 고소득에 적용되어 총액이 더 증가하게 됩니다.

구분  기준소득월액  출산크레딧 적용 방식 적용 개월 수  예상 월 추가 연금액
남편 (1,000만 원) 1,000만원 몰아주기 (12개월) 12개월 +120,000원
부부 합산 약 +120,000원/월 증가

 

기본 적용 방식에서 몰아주기 방식을 적용하자 월 추가 연금액이 48,000원 더 증가하게 됩니다.

 

 

셋째 자녀 이상인 경우는 더욱 차이가 커집니다.


자녀 3명 → 30개월 몰아주기 적용 → 고소득 배우자에게 몰아주면 이 부부는 월 81,000원 이상 추가 수령 가능합니다.


자녀 4명 → 48개월 몰아주기 적용 → 총 수령액 격차는 약 20년간 2,000만 원 이상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몰아주기 전략은 전체 수령 총액을 늘리고 싶은 고소득자 가정에 매우 유리한 방식입니다.


다음은 수급 자격이 부족한 배우자에게 몰아줘서 아예 못 받던 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되는 상황을 알아보겠습니다.

 

 

 

 

 

수급 자격 부족 배우자에게 몰아준 사례

남편과 아내의 소득이 각각 500만 원, 300만 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남편은 가입기간 130개월로 수급 자격을 이미 충족했지만, 아내는 110개월밖에 가입하지 못했습니다.

 

 

이 경우 출산크레딧을 기본 분할 방식(6개월+6개월) 으로 적용한다면 아내는 총 116개월로 여전히 수급 자격을 충족하지 못해 국민연금을 한 푼도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출산크레딧 12개월을 전부 아내에게 몰아주면 가입기간이 122개월이 되어 수급 자격을 획득하게 됩니다.

 


그 결과, 아내는 매달 약 30만~40만 원 수준의 국민연금을 20년간 안정적으로 수령할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출산크레딧을 몰아준 현명한 선택으로 매달 약 35만 원 × 12개월 × 20년 = 약 8,400만 원 수준의 연금 수익을 회복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몰아줄 수 있는 개월 수가 30개월 이상으로 늘어나며,


그만큼 가입기간 확장 여력도 커져 수급 자격 확보는 물론 수령액 자체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출산크레딧은 수급 불가 배우자를 수급 가능자로 바꿔주는 강력한 국민연금 전략 도구 중 하나입니다.


출산크레딧 몰아주기 전략 바로가기

 

 

 

 

 

 

출산크레딧은 단순한 출산 장려 제도가 아니라, 수백~수천만 원 차이를 만드는 노후 자산 전략입니다.


몰아주기 전략, 고소득자 활용, 수급 자격 확보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여 국민연금 수령액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 신청 전, 반드시 가입 기간과 소득 구조를 고려하여 전략을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내 연금 예상 금액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