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자금을 마련해야 하지만 소득이 없어 고민이신가요? 무소득자도 이용할 수 있는 전세자금대출 상품들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무소득자도 신청 가능한 전세자금대출의 조건과 한도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목차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카카오뱅크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서울시 청년전세대출
우리은행 위비대출
KB 청년 맞춤형 전세자금대출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대출
대출 대상
-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 또는 예비 세대주
-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의 5% 이상을 지불한 자
- 부부 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인 자
대출 한도 및 조건
- 최대 2억 원
- 임차보증금의 80% 이내
- 금리: 연 1.5%~2.1%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적용)
무소득자도 신청 가능하며, 소득 증빙이 어려운 경우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
카카오뱅크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대출 대상
-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무주택자
- 근로소득자, 사업소득자, 기타소득자 또는 무소득자
- 부부 합산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인 자
대출 한도 및 조건
- 최대 1억 원
- 임차보증금의 90% 이내
- 금리: 연 2.59%~2.99% (신용도에 따라 차등 적용)
무소득자도 신청 가능하며,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 청년전세대출
대출 대상
-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
- 연 소득 4천만 원 이하인 자
- 현재 근로 중이 아니거나 과거 근로 기간의 총합이 1년 이상인 자
대출 한도 및 조건
- 최대 2억 원
- 임차보증금의 90% 이내
- 서울시에서 이자 2%를 지원
소득이 없는 청년들도 신청 가능하며, 서울시 주거포털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우리은행 위비대출
대출 대상
- 무직 또는 무소득자
-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인정하는 무소득자 입증서류를 제출하는 자
대출 한도 및 조건
- 최대 1,500만 원
- 임차보증금의 80% 이내
- 금리: 연 2.5%~3.5% (신용도에 따라 차등 적용)
무소득자도 소액 대출이 가능하며, 관련 서류를 준비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KB 청년 맞춤형 전세자금대출
대출 대상
- 만 34세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
- 소득이 없거나 소득 증빙이 어려운 자
대출 한도 및 조건
- 최대 2억 원
- 임차보증금의 90% 이내
- 금리: 연 2.0%~3.0% (신용도에 따라 차등 적용)
무소득자도 신청 가능하며, KB국민은행을 통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약 (무소득자 전세자금대출 비교)
대출 상품 | 대출 대상 | 한도 | 금리 | 비고 |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대출 | 만 19~34세, 무소득 가능 | 최대 2억 원 (보증금 80% 이내) | 연 1.5%~2.1% | 정부 지원 상품, 소득 증빙 어려워도 가능 |
카카오뱅크 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 만 19~34세, 무주택자, 무소득 가능 | 최대 1억 원 (보증금 90% 이내) | 연 2.59%~2.99% | 비대면 신청 가능 |
서울시 청년전세대출 | 만 19~39세, 무소득 가능 | 최대 2억 원 (보증금 90% 이내) | 서울시 이자 지원 (2%) | 서울시 거주자 대상 |
우리은행 위비대출 | 무소득자 가능 | 최대 1,500만 원 (보증금 80% 이내) | 연 2.5%~3.5% | 소액 대출 가능 |
KB 청년 맞춤형 전세자금대출 | 만 34세 이하, 무소득 가능 | 최대 2억 원 (보증금 90% 이내) | 연 2.0%~3.0% | KB국민은행 제공 |
소득이 없어도 다양한 전세자금대출 상품을 통해 주거 안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각 상품의 조건과 한도를 비교하여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대출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